tpdnjfsla

[스크랩] 늘 헷갈리는 관사 정복하기!

yoon951 2015. 9. 16. 09:32

 

 

관사 정복하기 Indefinite article, Definite article, or No article

 

한국인들이 가장 자주 틀리는 부분 중의 하나는 바로 관사입니다. 관사에는 부정 관사(indefinite article)과 정관사(definite article) 두 가지가 있습니다. 부정 관사란 단어 그대로 가리키는 대상이 구체적으로 정해지지 않은(不定; 부정) 경우에 쓰이며, a/an이 이에 해당합니다. 반대로 정관사는 가리키는 대상이 구체적으로 한정되어 있어서(定; 정) 누구나 상식적으로 그 대상을 알 수 있는 경우에 쓰이며, the가 이에 해당합니다. 간단히 말해, 독자나 청자가 내가 지칭하는 대상을 알 수 있는 경우에는 정관사를, 모를 경우에는 부정관사를 쓴다고 기억하면 됩니다. 이 기본 규칙을 머릿 속에 입력해두고 관사를 제대로 사용하는 방법을 배워봅시다. 단, 모든 규칙에는 예외가 있으므로 관사 사용의 실수를 줄이기 위해서는 스스로 영작을 해보고 꾸준히 첨삭을 받아보는 게 좋습니다.

 

※ 본 자료의 저작권은 아침별(모닝스타 퍼시픽 컨설팅)이 보유하고 있으므로, 복제(펌)할 경우에는 출처 (http://blog.naver.com/mstarcom1)를 병기해야 하며, 상업적인 용도로는 이용할 수 없습니다.

 ♠ 모닝스타 퍼시픽 컨설팅: 영어 번역/감수/첨삭, 원어민 화상 영어회화, 영어 프레젠테이션 트레이닝, 초보자용 영작문+영어회화 튜터링, 영어 기반 리서치, 국제 커플을 위한 카운슬링 및 번역 등 영어 관련 각종 서비스 제공 (고객별 1대1 맞춤 서비스)

☞ 홈페이지(http://www.morningstarpacific.com), 이메일 문의(mstarcom1@naver.com)

☞ 카페(http://cafe.naver.com/mstarcom1) - "대한민국에서 가장 쉬운 영작문" 무료 첨삭 서비스

 

§ 관사 선택 방법

  ① 고유 명사인지, 보통 명사인지 확인한다.

   ☞ 고유 명사(Proper nouns)란?

  사람이나 특정한 사물, 장소 등 특정한 대상을 가리키는 명사로 항상 대문자로 쓰인다.

  (인명, 국명, 도시명, 기업/기관명, 종교명, 명절 등)

  (예) Angelina Jolie, Korea, Paris, Starbucks, Christianity, Thanksgiving

  ☞ 보통 명사(Common nouns)란?

  일반적인 사람, 사물, 장소 등 막연한 대상을 가리키는 명사로 대개 소문자로 쓰인다

 (예) a girl, a student, a professor, a country, a city, a restaurant, an amusement park

 

 ② 고유 명사라면? → 대개 관사를 붙이지 않는다 (예외 존재).

 

 보통 명사라면? → 내가 가리키는 대상을 독자나 청자도 명확히 알 수 있는지 아닌지를 확인한다

     ⓐ 내가 가리키는 대상을 독자나 청자도 쉽게 알 수 있는 경우(특정한 대상):

        정관사 the를 붙인다

    ⓑ 내가 가리키는 대상이 불명확하거나 일반적인 경우(일반적인 대상): 

        단수인지, 복수인지 확인.

        → 복수(plural)일 경우: 관사를 붙이지 않는다 (예) books, cats, friends, pies, tables

        → 단수(singular)일 경우: 시작하는 발음이 모음(a, e, i, o, u)인지, 자음인지 확인.

            → 모음일 경우: 부정 관사 an을 붙인다

            (예) an English dictionary, an hour, an umbrella 

            → 자음일 경우: 부정 관사 a를 붙인다 (예) a book, a car, a hotel, a university

            (※ a/an의 선택은 철자가 아니라 발음에 따른 것임을 주의한다)

 

 * 관사와 소유격(my, your, her/his/its, their)은 함께 쓰지 않는다는 점도 유의

   (예) the my book (X)

 

◎ 더 공부해보기 Study More

(1) 정관사 the를 쓰는 경우: 독자나 청자도 쉽게 내가 가리키는 대상을 식별할 수 있을 때

 

이미 언급한 대상을 반복하여 언급할 때

(예) I go to a Mexican restaurant every Saturday. The restaurant serves delicious food.

(나는 토요일마다 멕시코 식당에 간다. 이 식당은 맛있는 음식을 제공한다)

 

문맥이나 상황을 통해 짐작 가능한 대상을 지칭할 때

 (예) Can you pass me the remote, please? (그 리모컨 좀 건네줄래요?)

 (예) Where is the bathroom? (화잘실이 어디예요?)

 

유일무이하거나 누구나 상식적으로 쉽게 식별할 수 있는 대상을 지칭할 때

  (예) the Blue House(청와대), the Stature of Liberty(자유의 여신상), the world(세계)

* a blue house라고 하면 불특정한 파란색 집이라는 뜻이 되지만, 정관사 the를 붙이면 우리나라 대통령 관저인 청와대(the Blue House)라는 것을 구체적으로 지정하게 된다.

 

특정한 특성을 지닌 계층 혹은 집단(전체)을 통칭할 때

(예) the educated (식자층), the dog (개-종족), the Chinese (중국인-민족)

* the +성(姓) + -s 는 ‘~씨 가족’이라는 뜻이 됨 (예) the Grahams (그래함 씨 부부/가족)

 

형용사구(절)이나 관계사절(who/which/that)에 의해 의미가 한정될 때

 (예) I like the couch in your living room. (당신 거실에 있는 소파가 좋네요)

 (예) I got the autograph of the actress who starred as Sun-hwa on Lost.

       (로스트에서 선화 역을 맡은 여배우한테서 사인을 받았어요)

 

역사적인 사건이나 특정한 시기를 나타낼 때

  (예) the Holocaust (홀로코스트), in the 1980s (1980년대), in the 21st century (21세기)

 

화폐 단위 앞: the won(원), the U.S. dollar (미국 달러), the yen(엔), the euro(유로)

(예) The value of the Korean won has been dropping relative to the U.S. dollar.

      (미국 달러 대비 원화 가치가 떨어지고 있다)

 

강, 바다, 반도, 사막, 산맥 앞:

 (예) the Han River (한강), the Pacific (태평양), the Korean Peninsula(한반도),

       the Sahara(사하라 사막), the Himalayas (히말라야 산맥)

       cf. Mount Everest (에베레스트 산; 산맥이 아니라 단일한 산이므로 the를 붙이지 않음)

 

악기명 앞: (예) the piano(피아노), the violin(바이올린), the flute(플루트)

 

학교명에 of ~가 들어있는 경우

 (예) the University of Washington cf. Washington State University (the가 들어가지 않음)

 

(2) 관사를 쓰지 않는 경우

 

고유 명사 앞: 인명, 기업명, 도시명, 국가명(예외 존재), 언어명, 대륙명 등

 (예) Oprah Winfrey(오프라 윈프리), Starbucks(스타벅스), Microsoft(마이크로소프트),

        Seoul(서울), Canada(캐나다), French(불어), Europe(유럽)

 [예외1] 국가명에 정관사가 들어가는 경우:

 ⓐ 여러 개의 주, 정치 연합 혹은 섬으로 구성된 국가인 경우:

     the United States of America(미국), the United Arab Emirates(아랍 에미리트 연합국),

     the Philippines(필리핀), the Bahamas(바하마)

 ⓑ 국가명에 Republic이 들어간 경우:

     the Republic of Korea(대한민국),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중화인민공화국;중국),

     the Czech Republic(체코 공화국)

 ⓒ 국가명에 Kingdom이 들어간 경우: the United Kingdom (영국)

 ⓓ 국가명 자체가 복수형인 경우: the Netherlands (네덜란드)

※ Netherlands = nether (= low 낮은) + lands (= lands 땅들); 낮은 땅들(low lands)라는 의미

 

 [예외2] 도시명에 정관사가 들어가는 경우 (예) the Hague(헤이그), the Vatican(바티칸)

 

특정한 것을 지칭하지 않는 셀 수 없는 명사(불가산명사): 물질명사, 추상명사, 집합명사

   * 불가산 명사라도 특정한 것을 지칭할 경우에는 정관사 the를 써준다

 

물질 명사(Material nouns):

뚜렷한 경계나 형태가 없는 물질이나 재료를 나타내는 명사

(액체, 기체, 각종 가루, 덩어리 및 재료)

(예) beer(맥주), coffee(커피), milk(우유), oil(기름), honey(꿀), tea(차), air(공기), water(물), ice(얼음), snow(눈), cake(케이크), ice cream(아이스크림), cheese(치즈), bread(빵), meat(고기; cf. a steak/스테이크는 셀 수 있는 명사), salt(소금), sugar(설탕), rice(쌀), gold(금), wood(목재), soap(비누), cloth(옷감), sand(모래), rubber(고무), paper(종이)

 

☞ 추상 명사(Abstract nouns)추상적인 개념, 생각, 감정, 특성, 상태 등을 나타내는 명사

    (오감 - 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 - 으로 지각할 수 없는 것들)

(예) democracy(민주주의), freedom(자유), peace(평화), success(성공), faith(신념), politics(정치), news(뉴스), education(교육), experience(경험), advice(조언), time(시간), 문법(grammar), happiness(행복), love(사랑), friendship(우정), hope(희망), information(정보), knowledge(지식), intelligence(지능) 미(beauty), 용기(courage), curiosity(호기심), patience(인내심), fun(재미), humor(유머), adventure(모험), childhood(어린 시절)

(예) Courage is the key to successYou should have the courage to overcome challenges. (용기는 성공의 열쇠이다. 도전을 극복할 용기를 가져라)

 

집합명사(Collective nouns): 한 종류에 속하는 사람이나 사물의 집합을 통칭하는 명사

 집합 명사 (셀 수 없는 명사)

구성 요소의 예 (셀 수 있는 명사) 

 money (돈)  two dollars (2달러), 50 cents (50센트)
baggage, luggage (수화물)

 two suitcases (여행가방2),

 three bags(가방 3 )

 clothing (의류)

 two skirts (스커트 2),

 three blouses (블라우스3 )

 jewelry (보석류)  a diamond ring (다이아 반지 1),
 two necklaces (
목걸이 2)
 furniture (가구)  a bed (침대 1), two chairs (의자 2)
 equipment (장비)

 a printer (프린터 1),

 two computers (컴퓨터 2)

 fruit (과일)

 an orange (오렌지 1),

 two apples (사과 2)

 candy (사탕 과자)

 a lollipop (막대 사탕 1),

  two caramels (카라멜 2)

 food (음식)

 a plate of pasta (파스타 1접시),

 two slices of bread ( 2 조각)

 mail (우편)  a letter (편지 1), two parcels (소포 2)
 traffic (교통량)

 many cars (많은 자동차들),

 many trucks (많은 트럭들)

 travel (여행)

 a trip to Japan (한 번의 일본 여행),

 two journeys to China (두 번의 중국 여행)

 vocabulary (어휘/용어수)  three words (단어 3)
 homework (숙제)  three assignments (과제물 3)
 family (가족)

 parents (부모),

 three brothers (남동생 3)

 * 기타 집합명사:

work(), grammar(문법), slang(속어), faculty(교직원), staff(직원), jury(배심원단)

 

※ 셀 수 없는 명사는 some, any, little, a little, much, a lot of(=lots of)의 수식을 받을 수 있으며, 항상 단수 동사와 함께 쓴다.

(예) There is a lot of money involved in the sports business.

(스포츠 산업에는 많은 돈이 걸려 있다)

 

♣ 그러나 셀 수 없는 명사라도 측정 가능한 단위(예: kilo, liter, pound)나 측정 용기를 동원하면 구체적인 양을 나타낼 수 있다: can(캔), cup(컵), glass(잔), bottle(병), pitcher(물 주전자), jar(병/단지), spoonful(스푼), carton(상자), box(상자), bar(막대기), grain(톨), loaf(덩어리), slice/piece(조각).

(예) a cup of coffee (커피 한 잔), a glass of beer (맥주 한 잔), a bottle of wine(포도주 한 병), a can of coke(콜라 한 캔), a carton of milk (우유 한 통), a pitcher of water (물 한 주전자), a jar of strawberry jam (딸기잼 한 병), a spoonful of olive oil (올리브 오일 한 스푼), a loaf of bread (빵 한 덩어리), a slice of toast (토스트 한 조각), a piece of cheese (치즈 한 조각), a grain of rice (쌀 한 톨), a box of cereal (시리얼 한 박스), two kilos of sugar (설탕 2킬로), 10 pounds of meat (고기 10 파운드), a bar of soap (비누 한 개), a tube of toothpaste (치약 한 개), a piece of advice (조언 한 마디), a piece of furniture (가구 한 점)

 

단, 셀 수 없는 명사도 어떤 의미로 사용되느냐에 따라 셀 수 있는 명사가 되기도 하는데, 이는 대개 개별적인(particular) 경우나 대상을 지칭하는 경우이다.  

(예) I need some printer paper. (인쇄용 종이가 필요해요) – 불가산 명사

       I submitted two papers to NCA. (NCA에 논문 두 편을 제출했어요) – 가산 명사

(예) I wash my hair every day. (저는 매일 머리를 감아요) – 불가산 명사

       I found a hair in my salad. (샐러드에 머리카락이 들어 있었어요) – 가산 명사

(예) There is not enough room in here to exercise.

      (여기에는 운동 공간이 부족해요) – 불가산 명사

      Our house has three rooms. (저희 집은 이 세 개예요) – 가산 명사

(예) I have extensive experience in public relations.

      (저는 PR 분야에 경험[지식, 기술]이 많아요) – 불가산 명사

      I had a good experience in Korea.

      (저는 한국에서 좋은 경험[개별적인 경험]을 했어요) – 가산 명사

(예) Hurry! We’re running out of time. (서둘러요. 시간이 별로 없어요) – 불가산 명사

       Have a good time. (좋은 시간[개별적인 시간] 보내세요) – 가산 명사

(예) There is too much noise for me to study.

       (공부하기에는 소음이 너무 심해요) – 불가산 명사

       I heard a noise coming from the window.

      (창가 쪽에서 무슨 소리[개별적인 소리]가 났어요) – 가산 명사

 

본래의 목적으로 침대(bed), 교회(church), 병원(hospital), 대학(university)을 이용할 때는 관사를 생략한다. 관사가 생략될 경우, 특정한 장소로의 이동이라는 문자 그대로의 의미보다는 해당 장소의 용도나 목적(= 그 장소에서 하는 활동)을 강조한다. 반대로 관사를 사용하는 경우는 어떤 이유로든 그 특정한 장소로 간다는 사실 자체에 중점을 두는 경우이다.

(예) It's time to go to bed. (자러 갈 시간이에요)

  cf. I went to the bed to wake up my sister. (여동생을 깨우러 침대로 갔다)

(예) I go to church every Sunday. (나는 일요일마다 예배드리러 간다)

  cf. I went to the church to attend my coworker’s wedding

     (나는 직장 동료의 결혼식 참석차 교회에 갔다)

(예) My friend Daniel was sent to prison for fraud.

      (내 친구 다니엘은 사기죄로 교도소에 수감됐다)

  cf. I went to the prison to visit Daniel. (다니엘을 면회하러 교도소에 갔다)

(예) I go to school at 9:00 a.m. (나는 9시에 등교한다)

  cf. I went to the school to get my transcript. (성적표를 떼러 학교에 갔었다)

 

** 유의: 영국식 영어에서는 환자로서 진찰을 받으러 병원에 갈 경우(본래의 목적), the를 생략하고, 병문안 등 기타의 목적으로 병원에 갈 때는 the를 써준다. 그러나 미국식 영어에서는 병원 방문의 목적과 상관없이 병원에 간다고 할 때는 항상 the를 쓴다

(예) I went to the hospital to get a medical exam. (나는 신체 검사를 받으러 병원에 갔다)

       I went to the hospital to visit my friend. (나는 친구를 병문안 하러 병원에 갔다)

 

식사명 앞 (예) breakfast(아침), lunch(점심), dinner(저녁)

 

by + 교통 수단 (예) by bus(버스로), by car(차로), by subway(지하철로)

 

직위(title) + 이름 (예) President Obama, Dr. Miller, Professor Graham

 

스포츠나 학과/전공명 앞 (예) football(축구), golf(골프), economics(경제), history(역사)

 

연습하기 (Practice)

빈 칸에 적절한 관사(a, an, the)를 넣어 문장을 완성하고, 관사가 필요없는 경우에는 x 표시하세요.

My name is Emma. I am from Seattle, Washington in the United States. I was born in Puyallup, a small town that is 45 minutes from Seattle. I graduated from (1) ____ University of Puget Sound with (2)____ B.A. in (3) ____ fall of 2004. I majored in English. After my graduation, I came to Busan, Korea, for (4) ____ new experience. Busan is (5) ____ second largest city in Korea, and is located in (6) ____ southern part of Korea. I have taught English in (7) ____ private English school called ABC for five years. I live with (8) ____ cat in (9) ____ small apartment near (10) ___

관사 정복하기 Indefinite article, Definite article, or No article

 

한국인들이 가장 자주 틀리는 부분 중의 하나는 바로 관사입니다. 관사에는 부정 관사(indefinite article)과 정관사(definite article) 두 가지가 있습니다. 부정 관사란 단어 그대로 가리키는 대상이 구체적으로 정해지지 않은(不定; 부정) 경우에 쓰이며, a/an이 이에 해당합니다. 반대로 정관사는 가리키는 대상이 구체적으로 한정되어 있어서(定; 정) 누구나 상식적으로 그 대상을 알 수 있는 경우에 쓰이며, the가 이에 해당합니다. 간단히 말해, 독자나 청자가 내가 지칭하는 대상을 알 수 있는 경우에는 정관사를, 모를 경우에는 부정관사를 쓴다고 기억하면 됩니다. 이 기본 규칙을 머릿 속에 입력해두고 관사를 제대로 사용하는 방법을 배워봅시다. 단, 모든 규칙에는 예외가 있으므로 관사 사용의 실수를 줄이기 위해서는 스스로 영작을 해보고 꾸준히 첨삭을 받아보는 게 좋습니다.

 

※ 본 자료의 저작권은 아침별(모닝스타 퍼시픽 컨설팅)이 보유하고 있으므로, 복제(펌)할 경우에는 출처 (http://blog.naver.com/mstarcom1)를 병기해야 하며, 상업적인 용도로는 이용할 수 없습니다.

 ♠ 모닝스타 퍼시픽 컨설팅: 영어 번역/감수/첨삭, 원어민 화상 영어회화, 영어 프레젠테이션 트레이닝, 초보자용 영작문+영어회화 튜터링, 영어 기반 리서치, 국제 커플을 위한 카운슬링 및 번역 등 영어 관련 각종 서비스 제공 (고객별 1대1 맞춤 서비스)

☞ 홈페이지(http://www.morningstarpacific.com), 이메일 문의(mstarcom1@naver.com)

☞ 카페(http://cafe.naver.com/mstarcom1) - "대한민국에서 가장 쉬운 영작문" 무료 첨삭 서비스

 

§ 관사 선택 방법

  ① 고유 명사인지, 보통 명사인지 확인한다.

   ☞ 고유 명사(Proper nouns)란?

  사람이나 특정한 사물, 장소 등 특정한 대상을 가리키는 명사로 항상 대문자로 쓰인다.

  (인명, 국명, 도시명, 기업/기관명, 종교명, 명절 등)

  (예) Angelina Jolie, Korea, Paris, Starbucks, Christianity, Thanksgiving

  ☞ 보통 명사(Common nouns)란?

  일반적인 사람, 사물, 장소 등 막연한 대상을 가리키는 명사로 대개 소문자로 쓰인다

 (예) a girl, a student, a professor, a country, a city, a restaurant, an amusement park

 

 ② 고유 명사라면? → 대개 관사를 붙이지 않는다 (예외 존재).

 

 보통 명사라면? → 내가 가리키는 대상을 독자나 청자도 명확히 알 수 있는지 아닌지를 확인한다

     ⓐ 내가 가리키는 대상을 독자나 청자도 쉽게 알 수 있는 경우(특정한 대상):

        정관사 the를 붙인다

    ⓑ 내가 가리키는 대상이 불명확하거나 일반적인 경우(일반적인 대상): 

        단수인지, 복수인지 확인.

        → 복수(plural)일 경우: 관사를 붙이지 않는다 (예) books, cats, friends, pies, tables

        → 단수(singular)일 경우: 시작하는 발음이 모음(a, e, i, o, u)인지, 자음인지 확인.

            → 모음일 경우: 부정 관사 an을 붙인다

            (예) an English dictionary, an hour, an umbrella 

            → 자음일 경우: 부정 관사 a를 붙인다 (예) a book, a car, a hotel, a university

            (※ a/an의 선택은 철자가 아니라 발음에 따른 것임을 주의한다)

 

 * 관사와 소유격(my, your, her/his/its, their)은 함께 쓰지 않는다는 점도 유의

   (예) the my book (X)

 

◎ 더 공부해보기 Study More

(1) 정관사 the를 쓰는 경우: 독자나 청자도 쉽게 내가 가리키는 대상을 식별할 수 있을 때

 

이미 언급한 대상을 반복하여 언급할 때

(예) I go to a Mexican restaurant every Saturday. The restaurant serves delicious food.

(나는 토요일마다 멕시코 식당에 간다. 이 식당은 맛있는 음식을 제공한다)

 

문맥이나 상황을 통해 짐작 가능한 대상을 지칭할 때

 (예) Can you pass me the remote, please? (그 리모컨 좀 건네줄래요?)

 (예) Where is the bathroom? (화잘실이 어디예요?)

 

유일무이하거나 누구나 상식적으로 쉽게 식별할 수 있는 대상을 지칭할 때

  (예) the Blue House(청와대), the Stature of Liberty(자유의 여신상), the world(세계)

* a blue house라고 하면 불특정한 파란색 집이라는 뜻이 되지만, 정관사 the를 붙이면 우리나라 대통령 관저인 청와대(the Blue House)라는 것을 구체적으로 지정하게 된다.

 

특정한 특성을 지닌 계층 혹은 집단(전체)을 통칭할 때

(예) the educated (식자층), the dog (개-종족), the Chinese (중국인-민족)

* the +성(姓) + -s 는 ‘~씨 가족’이라는 뜻이 됨 (예) the Grahams (그래함 씨 부부/가족)

 

형용사구(절)이나 관계사절(who/which/that)에 의해 의미가 한정될 때

 (예) I like the couch in your living room. (당신 거실에 있는 소파가 좋네요)

 (예) I got the autograph of the actress who starred as Sun-hwa on Lost.

       (로스트에서 선화 역을 맡은 여배우한테서 사인을 받았어요)

 

역사적인 사건이나 특정한 시기를 나타낼 때

  (예) the Holocaust (홀로코스트), in the 1980s (1980년대), in the 21st century (21세기)

 

화폐 단위 앞: the won(원), the U.S. dollar (미국 달러), the yen(엔), the euro(유로)

(예) The value of the Korean won has been dropping relative to the U.S. dollar.

      (미국 달러 대비 원화 가치가 떨어지고 있다)

 

강, 바다, 반도, 사막, 산맥 앞:

 (예) the Han River (한강), the Pacific (태평양), the Korean Peninsula(한반도),

       the Sahara(사하라 사막), the Himalayas (히말라야 산맥)

       cf. Mount Everest (에베레스트 산; 산맥이 아니라 단일한 산이므로 the를 붙이지 않음)

 

악기명 앞: (예) the piano(피아노), the violin(바이올린), the flute(플루트)

 

학교명에 of ~가 들어있는 경우

 (예) the University of Washington cf. Washington State University (the가 들어가지 않음)

 

(2) 관사를 쓰지 않는 경우

 

고유 명사 앞: 인명, 기업명, 도시명, 국가명(예외 존재), 언어명, 대륙명 등

 (예) Oprah Winfrey(오프라 윈프리), Starbucks(스타벅스), Microsoft(마이크로소프트),

        Seoul(서울), Canada(캐나다), French(불어), Europe(유럽)

 [예외1] 국가명에 정관사가 들어가는 경우:

 ⓐ 여러 개의 주, 정치 연합 혹은 섬으로 구성된 국가인 경우:

     the United States of America(미국), the United Arab Emirates(아랍 에미리트 연합국),

     the Philippines(필리핀), the Bahamas(바하마)

 ⓑ 국가명에 Republic이 들어간 경우:

     the Republic of Korea(대한민국),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중화인민공화국;중국),

     the Czech Republic(체코 공화국)

 ⓒ 국가명에 Kingdom이 들어간 경우: the United Kingdom (영국)

 ⓓ 국가명 자체가 복수형인 경우: the Netherlands (네덜란드)

※ Netherlands = nether (= low 낮은) + lands (= lands 땅들); 낮은 땅들(low lands)라는 의미

 

 [예외2] 도시명에 정관사가 들어가는 경우 (예) the Hague(헤이그), the Vatican(바티칸)

 

특정한 것을 지칭하지 않는 셀 수 없는 명사(불가산명사): 물질명사, 추상명사, 집합명사

   * 불가산 명사라도 특정한 것을 지칭할 경우에는 정관사 the를 써준다

 

물질 명사(Material nouns):

뚜렷한 경계나 형태가 없는 물질이나 재료를 나타내는 명사

(액체, 기체, 각종 가루, 덩어리 및 재료)

(예) beer(맥주), coffee(커피), milk(우유), oil(기름), honey(꿀), tea(차), air(공기), water(물), ice(얼음), snow(눈), cake(케이크), ice cream(아이스크림), cheese(치즈), bread(빵), meat(고기; cf. a steak/스테이크는 셀 수 있는 명사), salt(소금), sugar(설탕), rice(쌀), gold(금), wood(목재), soap(비누), cloth(옷감), sand(모래), rubber(고무), paper(종이)

 

☞ 추상 명사(Abstract nouns)추상적인 개념, 생각, 감정, 특성, 상태 등을 나타내는 명사

    (오감 - 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 - 으로 지각할 수 없는 것들)

(예) democracy(민주주의), freedom(자유), peace(평화), success(성공), faith(신념), politics(정치), news(뉴스), education(교육), experience(경험), advice(조언), time(시간), 문법(grammar), happiness(행복), love(사랑), friendship(우정), hope(희망), information(정보), knowledge(지식), intelligence(지능) 미(beauty), 용기(courage), curiosity(호기심), patience(인내심), fun(재미), humor(유머), adventure(모험), childhood(어린 시절)

(예) Courage is the key to successYou should have the courage to overcome challenges. (용기는 성공의 열쇠이다. 도전을 극복할 용기를 가져라)

 

집합명사(Collective nouns): 한 종류에 속하는 사람이나 사물의 집합을 통칭하는 명사

 집합 명사 (셀 수 없는 명사)

구성 요소의 예 (셀 수 있는 명사) 

 money (돈)  two dollars (2달러), 50 cents (50센트)
baggage, luggage (수화물)

 two suitcases (여행가방2),

 three bags(가방 3 )

 clothing (의류)

 two skirts (스커트 2),

 three blouses (블라우스3 )

 jewelry (보석류)  a diamond ring (다이아 반지 1),
 two necklaces (
목걸이 2)
 furniture (가구)  a bed (침대 1), two chairs (의자 2)
 equipment (장비)

 a printer (프린터 1),

 two computers (컴퓨터 2)

 fruit (과일)

 an orange (오렌지 1),

 two apples (사과 2)

 candy (사탕 과자)

 a lollipop (막대 사탕 1),

  two caramels (카라멜 2)

 food (음식)

 a plate of pasta (파스타 1접시),

 two slices of bread ( 2 조각)

 mail (우편)  a letter (편지 1), two parcels (소포 2)
 traffic (교통량)

 many cars (많은 자동차들),

 many trucks (많은 트럭들)

 travel (여행)

 a trip to Japan (한 번의 일본 여행),

 two journeys to China (두 번의 중국 여행)

 vocabulary (어휘/용어수)  three words (단어 3)
 homework (숙제)  three assignments (과제물 3)
 family (가족)

 parents (부모),

 three brothers (남동생 3)

 * 기타 집합명사:

work(), grammar(문법), slang(속어), faculty(교직원), staff(직원), jury(배심원단)

 

※ 셀 수 없는 명사는 some, any, little, a little, much, a lot of(=lots of)의 수식을 받을 수 있으며, 항상 단수 동사와 함께 쓴다.

(예) There is a lot of money involved in the sports business.

(스포츠 산업에는 많은 돈이 걸려 있다)

 

♣ 그러나 셀 수 없는 명사라도 측정 가능한 단위(예: kilo, liter, pound)나 측정 용기를 동원하면 구체적인 양을 나타낼 수 있다: can(캔), cup(컵), glass(잔), bottle(병), pitcher(물 주전자), jar(병/단지), spoonful(스푼), carton(상자), box(상자), bar(막대기), grain(톨), loaf(덩어리), slice/piece(조각).

(예) a cup of coffee (커피 한 잔), a glass of beer (맥주 한 잔), a bottle of wine(포도주 한 병), a can of coke(콜라 한 캔), a carton of milk (우유 한 통), a pitcher of water (물 한 주전자), a jar of strawberry jam (딸기잼 한 병), a spoonful of olive oil (올리브 오일 한 스푼), a loaf of bread (빵 한 덩어리), a slice of toast (토스트 한 조각), a piece of cheese (치즈 한 조각), a grain of rice (쌀 한 톨), a box of cereal (시리얼 한 박스), two kilos of sugar (설탕 2킬로), 10 pounds of meat (고기 10 파운드), a bar of soap (비누 한 개), a tube of toothpaste (치약 한 개), a piece of advice (조언 한 마디), a piece of furniture (가구 한 점)

 

단, 셀 수 없는 명사도 어떤 의미로 사용되느냐에 따라 셀 수 있는 명사가 되기도 하는데, 이는 대개 개별적인(particular) 경우나 대상을 지칭하는 경우이다.  

(예) I need some printer paper. (인쇄용 종이가 필요해요) – 불가산 명사

       I submitted two papers to NCA. (NCA에 논문 두 편을 제출했어요) – 가산 명사

(예) I wash my hair every day. (저는 매일 머리를 감아요) – 불가산 명사

       I found a hair in my salad. (샐러드에 머리카락이 들어 있었어요) – 가산 명사

(예) There is not enough room in here to exercise.

      (여기에는 운동 공간이 부족해요) – 불가산 명사

      Our house has three rooms. (저희 집은 이 세 개예요) – 가산 명사

(예) I have extensive experience in public relations.

      (저는 PR 분야에 경험[지식, 기술]이 많아요) – 불가산 명사

      I had a good experience in Korea.

      (저는 한국에서 좋은 경험[개별적인 경험]을 했어요) – 가산 명사

(예) Hurry! We’re running out of time. (서둘러요. 시간이 별로 없어요) – 불가산 명사

       Have a good time. (좋은 시간[개별적인 시간] 보내세요) – 가산 명사

(예) There is too much noise for me to study.

       (공부하기에는 소음이 너무 심해요) – 불가산 명사

       I heard a noise coming from the window.

      (창가 쪽에서 무슨 소리[개별적인 소리]가 났어요) – 가산 명사

 

본래의 목적으로 침대(bed), 교회(church), 병원(hospital), 대학(university)을 이용할 때는 관사를 생략한다. 관사가 생략될 경우, 특정한 장소로의 이동이라는 문자 그대로의 의미보다는 해당 장소의 용도나 목적(= 그 장소에서 하는 활동)을 강조한다. 반대로 관사를 사용하는 경우는 어떤 이유로든 그 특정한 장소로 간다는 사실 자체에 중점을 두는 경우이다.

(예) It's time to go to bed. (자러 갈 시간이에요)

  cf. I went to the bed to wake up my sister. (여동생을 깨우러 침대로 갔다)

(예) I go to church every Sunday. (나는 일요일마다 예배드리러 간다)

  cf. I went to the church to attend my coworker’s wedding

     (나는 직장 동료의 결혼식 참석차 교회에 갔다)

(예) My friend Daniel was sent to prison for fraud.

      (내 친구 다니엘은 사기죄로 교도소에 수감됐다)

  cf. I went to the prison to visit Daniel. (다니엘을 면회하러 교도소에 갔다)

(예) I go to school at 9:00 a.m. (나는 9시에 등교한다)

  cf. I went to the school to get my transcript. (성적표를 떼러 학교에 갔었다)

 

** 유의: 영국식 영어에서는 환자로서 진찰을 받으러 병원에 갈 경우(본래의 목적), the를 생략하고, 병문안 등 기타의 목적으로 병원에 갈 때는 the를 써준다. 그러나 미국식 영어에서는 병원 방문의 목적과 상관없이 병원에 간다고 할 때는 항상 the를 쓴다

(예) I went to the hospital to get a medical exam. (나는 신체 검사를 받으러 병원에 갔다)

       I went to the hospital to visit my friend. (나는 친구를 병문안 하러 병원에 갔다)

 

식사명 앞 (예) breakfast(아침), lunch(점심), dinner(저녁)

 

by + 교통 수단 (예) by bus(버스로), by car(차로), by subway(지하철로)

 

직위(title) + 이름 (예) President Obama, Dr. Miller, Professor Graham

 

스포츠나 학과/전공명 앞 (예) football(축구), golf(골프), economics(경제), history(역사)

 

연습하기 (Practice)

빈 칸에 적절한 관사(a, an, the)를 넣어 문장을 완성하고, 관사가 필요없는 경우에는 x 표시하세요.

My name is Emma. I am from Seattle, Washington in the United States. I was born in Puyallup, a small town that is 45 minutes from Seattle. I graduated from (1) ____ University of Puget Sound with (2)____ B.A. in (3) ____ fall of 2004. I majored in English. After my graduation, I came to Busan, Korea, for (4) ____ new experience. Busan is (5) ____ second largest city in Korea, and is located in (6) ____ southern part of Korea. I have taught English in (7) ____ private English school called ABC for five years. I live with (8) ____ cat in (9) ____ small apartment near (10) ____ school. (11) ____ cat’s name is Princess. Also, I have (12) ____ boyfriend. His name is Justin. He is (13) ____ sweetest guy I have ever known. I always talk to him on the phone before I go to (14) ___ bed. I sleep early at night because I need to wake up at 7 a.m. to go to (15) ____ work.

[해석] 제 이름은 엠마입니다. 저는 미국 워싱턴주 시애틀 출신입니다. 저는 시애틀에서 45분 거리에 있는 작은 도시인 퓨알럽에서 태어났습니다. 2004년 가을에 퓨젯 사운드 대학교에서 학사 학위를 취득했습니다. 전공은 영어입니다. 졸업을 하고 나서 새로운 경험을 하려고 한국 부산으로 왔습니다. 부산은 한국에서 두번째로 큰 도시이며 남쪽 지방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저는 ABC라는 사설 영어 학원에서 5년째 영어를 가르치고 있습니다. 학원 근처 아파트에서 고양이 한 마리와 함께 살고 있지요. 고양이의 이름은 프린세스입니다. 저는 남자친구도 있습니다. 그의 이름은 저스틴입니다. 그는 제가 아는 사람들 중에서 가장 따뜻한 남자입니다. 저는 잠자리에 들기 전에 항상 그와 전화 통화를 합니다. 7시에 일어나서 일하러 가야 해서 저녁에는 일찍 잠자리에 듭니다.

 

정답 Answers:

1. the (University of Puget Sound) 2. a (B.A.) 3. the (fall of 2004) 4. a (new experience) 5. the (second largest city) 6. the (southern part of Korea) 7. a (private English school) 8. a (cat) 9. a (small apartment) 10. the (school) 11. The (cat’s name) 12. a (boyfriend) 13. the (sweetest guy) 14. X 15. X 

 

_ school. (11) ____ cat’s name is Princess. Also, I have (12) ____ boyfriend. His name is Justin. He is (13) ____ sweetest guy I have ever known. I always talk to him on the phone before I go to (14) ___ bed. I sleep early at night because I need to wake up at 7 a.m. to go to (15) ____ work.

 

 

 

 

[해석] 제 이름은 엠마입니다. 저는 미국 워싱턴주 시애틀 출신입니다. 저는 시애틀에서 45분 거리에 있는 작은 도시인 퓨알럽에서 태어났습니다. 2004년 가을에 퓨젯 사운드 대학교에서 학사 학위를 취득했습니다. 전공은 영어입니다. 졸업을 하고 나서 새로운 경험을 하려고 한국 부산으로 왔습니다. 부산은 한국에서 두번째로 큰 도시이며 남쪽 지방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저는 ABC라는 사설 영어 학원에서 5년째 영어를 가르치고 있습니다. 학원 근처 아파트에서 고양이 한 마리와 함께 살고 있지요. 고양이의 이름은 프린세스입니다. 저는 남자친구도 있습니다. 그의 이름은 저스틴입니다. 그는 제가 아는 사람들 중에서 가장 따뜻한 남자입니다. 저는 잠자리에 들기 전에 항상 그와 전화 통화를 합니다. 7시에 일어나서 일하러 가야 해서 저녁에는 일찍 잠자리에 듭니다.

 

 

정답 Answers:

1. the (University of Puget Sound) 2. a (B.A.) 3. the (fall of 2004) 4. a (new experience) 5. the (second largest city) 6. the (southern part of Korea) 7. a (private English school) 8. a (cat) 9. a (small apartment) 10. the (school) 11. The (cat’s name) 12. a (boyfriend) 13. the (sweetest guy) 14. X 15. X 

 

 

출처 : 서치킹의 영어회화 맞짱뜨기
글쓴이 : 서치킹 원글보기
메모 :